VI - 리눅스에서 기본으로 재공하는 문서 편집 프로그램이다. 윈도우의 에디터와 다르게 모드가 존재한다.
모드는 명령모드, 입력모드, 실행모드로 나뉜다.
명령 모드 - 입력 외의 편집작업이 가능하다.
명령모드의 단축키
gg,G - 문서 맨 처음이나 아래로
nG - n의 라인으로 이동(n은 숫자)
^f, ^b - 화면단위 이동
x - 글자 삭제
dd - 라인 삭제
/문자열 - 해당 문자 검색
:set nu - 화면에 라인 번호 표시를 표시한다. (실행모드에서 입력하지만 해당 명령어 입력시 명령모드로 바로 돌아온다.)
입력모드 - 데이터 입력 및 수정이 가능한 모드이다.
실행모드 - 파일 저장과 vi 종료할때 사용한다.
실행모드의 단축키
wq - 저장 후 종료한다.
q! - 저장하지 않고 종료한다.
w [파일명] - 새이름으로 저장한다.
모드간의 이동 방법
명령모드 -> 삽입모드로 변경.
i - 커서 위치에서부터 입력
a - 커서 다음칸부터 입력
o -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을 만들고 입력
I - 커서가 위치한 라인 맨 앞에서 입력
A - 커서 위치한 라인 맨 뒤에서 입력
명령모드 -> 실행모드로 변경 " : "
실행모드 -> 명령모드로 변경 ESC
입력모드 -> 명령모드로 변경 ESC
입력모드 -> 실행모드로 변경은 불가능
딱보기에도 vi로 문서작업을 하기엔 굉장히 복잡하다. vi는 문서작업용이 아니라 conf 파일 설정이나 환경변수 설정 등 일부를 수정하거나 새로 만들어야 할 경우 윈도우에서 작성 후 복사 - 붙혀넣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
문서작업이 필요한 경우 윈도우를 사용하자!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TP 서버 (0) | 2018.09.07 |
---|---|
리눅스 DNS 서버 - slave DNS (0) | 2018.09.04 |
리눅스 DNS 서버 - 개념과 구축 방법(CentOS) (0) | 2018.09.04 |
리눅스 기초(기본) 명령어 모음 (0) | 2018.08.23 |